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6 세포의 "물류 시스템" (aka 세포가 쓰는 쿠팡)-2013년 노벨 생리의학상 2013년 노벨 생리의학상 – 세포의 ‘물류 시스템’을 밝히다서론: 세포 속 보이지 않는 택배 네트워크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세포 내에서 물질이 어떻게 정확한 장소로 전달되는지에 대한 핵심 원리를 규명한 세 명의 과학자들에게 수여되었다. 미국의 랜디 W. 셰크먼(Randy W. Schekman), 독일 태생의 토머스 C. 쥐트호프(Thomas C. Südhof), 그리고 미국의 제임스 E. 로스먼(James E. Rothman)이 그 주인공이다.이들은 세포의 ‘소포 수송 시스템(vesicle trafficking system)’을 구성하는 유전자, 단백질, 그리고 그 작동 원리를 밝혀내어, 생명체의 정상적인 기능과 질병 발생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 기여를 했다. 이 연구는 신경전달, 호르몬 .. 2025. 8. 15. 유도만능줄기세포 (iPS)의 발견 -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 – 세포 운명을 되돌린 두 과학자서론: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든 발견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세포 생물학의 오래된 교리를 뒤집은 두 과학자, 영국의 **존 거든(John B. Gurdon)**과 일본의 **야마나카 신야(Shinya Yamanaka)**에게 돌아갔다.그들의 업적은 “성숙한 세포를 초기 배아 단계의 전능성(pluripotency)을 지닌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”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며, 재생의학·질병 연구·신약 개발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.이 발견은 단순한 실험적 성공을 넘어,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꿨다. 한 번 분화된 세포는 되돌릴 수 없다는 믿음이 무너지고, 인간 스스로 세포 운명을 재설계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.존 거든의 핵 이식 실험 – 196.. 2025. 8. 14. 면역체계의 비밀(선천성면역과 적응면역)- 2011년 노벨 생리의학상 2011년 노벨 생리의학상 – 면역체계의 비밀을 밝힌 세 명의 과학자들서론: 인류를 지키는 방패, 면역의 비밀을 풀다2011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인체 면역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규명한 세 명의 과학자에게 수여되었다. 브루스 비틀러(Bruce A. Beutler)와 쥘 오프만(Jules A. Hoffmann)은 선천면역(innate immunity)의 활성화 메커니즘을, 랄프 스타인만(Ralph M. Steinman)은 적응면역(adaptive immunity)을 지휘하는 수지상세포(dendritic cell)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.이들의 연구는 백신 개발, 자가면역질환 치료, 암 면역치료 등 현대 의학 전반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. 특히, 면역 시스템의 ‘문을 여는’ 과정과 ‘지휘관 역할’을 이해함.. 2025. 8. 13. 체외수정(IVF)의 혁명-2010년 노벨 생리의학상 2010년 노벨 생리의학상 – 로버트 에드워즈와 체외수정(IVF)의 혁명서론: 불임 치료의 새 시대를 열다2010년, 노벨 생리의학상은 영국의 생리학자 로버트 에드워즈(Robert G. Edwards)에게 수여되었다. 그는 인류 최초의 ‘시험관 아기’를 탄생시킨 체외 수정(IVF, In Vitro Fertilization) 기술을 개발해, 수많은 불임 부부에게 부모가 될 기회를 제공했다. 1978년 태어난 루이즈 브라운(Louise Brown)의 탄생은 당시 세계 언론의 1면을 장식했고, 의료계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“인류가 생식을 통제하는 시대”가 열렸다는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. 이 획기적인 성취는 불임 치료의 지평을 완전히 바꾸었으며, 현대 생식의학의 초석이 되었다. 로버트 에드워즈의 성장과 학.. 2025. 8. 12. 세포 수명과 노화의 비밀-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– 세포 수명과 노화의 비밀, 텔로미어와 텔로머라제의 발견서론: 세포의 수명을 결정짓는 분자 시계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인간 세포의 수명, 노화, 그리고 암과 같은 치명적인 질병의 근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기념비적인 업적을 남긴 세 명의 과학자에게 수여되었다. 엘리자베스 H. 블랙번(Elizabeth H. Blackburn), 캐롤 W. 그리더(Carol W. Greider), 그리고 잭 W. 소스탁(Jack W. Szostak)은 염색체 말단을 보호하는 텔로미어(Telomere)와 이를 유지·연장하는 효소 텔로머라제(Telomerase)의 존재와 작동 원리를 발견했다.그들의 발견은 “세포가 어떻게 유전정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세대에서 세대로 전달하는가”라는 오랜 생.. 2025. 8. 11. 두 바이러스의 비밀을 풀다-2008년 노벨 생리의학상 2008년 노벨 생리의학상 – 두 바이러스의 비밀을 풀다인류를 위협한 두 질병의 원인을 밝히다2008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전 세계적인 보건 위기를 일으킨 두 가지 바이러스의 실체를 규명한 세 명의 과학자들에게 수여되었다. 절반의 상은 하랄트 추어 하우젠(Harald zur Hausen)에게 돌아갔다. 그는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되는 인유두종바이러스(HPV)를 발견해 예방과 치료의 새로운 길을 열었다. 나머지 절반은 프랑수아즈 바레-시누시(Françoise Barré-Sinoussi)와 뤽 몽타니에(Luc Montagnier)에게 수여되었는데, 이들은 인류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감염병 중 하나인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(HIV)를 최초로 발견했다.이들의 연구는 감염병 연구와 암 예방 의학에서 하나의 분수령이 되었.. 2025. 8. 10.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